경기기후도민회의 운영결과 보고서
경기기후도민회의 운영결과 보고서 경기기후도민회의 운영결과 보고서
경기도 의왕시 탄소중립센터 설립 및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경기도 의왕시 탄소중립센터 설립 및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경기도 의왕시 탄소중립센터 설립 및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2045중랑구 지속가능발전기본전략 및 추진계획 수립 연구
2045중랑구 지속가능발전기본전략 및 추진계획 수립 연구 2045중랑구 지속가능발전기본전략 및 추진계획 수립 연구
2045 구로구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및 추진계획 수립 연구
2023년 광명시 SDGs 이행점검 및 시민평가 연구
재난 대응에 있어 마을공동체의 새로운 역할 연구
2040 원주시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및 추진계획 수립 연구
경상남도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및 추진계획(2021~2040)
2040 원주시 지속가능발전 기본 및 이행계획
2045 당진시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및 추진계획
경상남도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2030 강서구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이행계획 수립 연구
2030 은평구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이행계획 수립 연구
도봉구 제2차 지속가능발전 평가보고서 발간 연구
경남형 2050 탄소중립로드맵 및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에 관한 연구
재난 피해자 및 지역사회 회복과 역량강화 방안 연구
사회혁신연구소는 2024년 4월 3일 ~ 2024년 12월 31일까지 <2045 천안시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및 추진계획 수립>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천안시 주요 이해관계자그룹(지역전문가, 미래세대, 행정)의 참여와 협의를 바탕으로 수립하였다. 천안시 지속가능발전목표는 2045년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전환 목표로 17개 목표를 집중 숙의하여 통해 도출하였다. 특히, 천안형 모델은 다차원적인 거버넌스를 기반으로 수립하였데 의의가 있다.
- 1단계 일반시민과 지역전문가로 구성한 시민참여단 숙의공론장 운영
- 2단계 미래세대참여단(아동·청소년·청년) 온라인 공동학습 및 우선순위 투표
- 3~4단계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천안시 행정부서 숙의공론 기반 작성·도출
▲ 사진출처 : 사회혁신연구소
[최종보고서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계획수립의 개요
제2절 계획수립 추진현황
제3절 지속가능발전 의의
제2장 국내외 지속가능발전 정책환경 검토
제1절 이머징 이슈 및 미래 전망
제2절 지속가능발전목표와 미래 전망 핵심 키워드
제3장 천안시 지속가능발전 현황과 전망
제1절 일반현황
제2절 17개 목표별 현황분석
제3절 연계성(Nexus)분석
제4절 소결(SWOT)분석
제4장 천안시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및 추진계획 수립 숙의공론화장
제1절 숙의공론화장 운영 의의
제2절 주요 이해관계자그룹 구성 및 운영
제3절 주요 이해관계자 거버넌스 기반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수립절차
제4절 숙의공론화장 도출 결과
제5절 소결
제5장 천안시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수립 개요
제1절 천안시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수립 방향
제2절 천안시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개요
제3절 2045 천안시 지속가능발전목표
제6장 천안시 지속가능발전 추진계획 수립 개요
제1절 천안시 지속가능발전 추진계획 수립 원칙
제2절 천안시 지속가능발전 추진계획 절차
제3절 천안시 지속가능발전 추진과제
제7장 천안시 지속가능발전 지표 개요
제1절 지속가능발전 관련 지표 현황
제2절 천안시 지속가능발전지표
제3절 천안시 지속가능발전지표 정의서
제8장 천안시 지속가능발전 추진 매뉴얼
제1절 추진기반 마련 방안
제2절 지속가능발전교육 및 실천역량 강화
제3절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을 위한 협치 구현
제4절 천안시 지속가능발전목표 추진 연차별 로드맵
제5절 향후 추진 시 고려사항
제9장 2045 천안시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및 추진계획서
제1절 2045 천안시 지속가능발전목표 체계도
제2절 2045 천안시 지속가능발전목표
제3절 2045 천안시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및 추진계획서
#지속가능발전, SDGs, 지속가능발전목표, 지속가능발전기본전략및추진계획, 천안시, 사회혁신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