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 성북구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및 추진계획 수립 연구(성북구청)

- 2025 도봉구 제4차 지속가능발전보고서 연구(도봉구청)

- 경기 베이비부머 양코르 플랫폼 콘텐츠 개발 연구(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 주민참여 유관조직 공동과제(참여예산) 발굴 숙의공론장 운영(은평구청)

- 이천시 지속가능발전대학 '지속가능발전과 ESG' 강의(이천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 청주복지재단 ESG 컨설팅

- 2025 장기요양요원 현장정책학교 - '현장정책위원은 이렇게 현장을 바꾼다! : 현장정책위원 실천기술 익히기'

- 양주시 주민참여예산위원회 역량강화 교육

-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정부위원회 간 협업 및 역할정립 방안(국무조정실)  / 공동연구   

- 경상국립대학교 교직원 대상 SDGs, ESG 교육
- 경기도 군포시 제3기 주민자치회 위원 소통 워크숍 진행

- '그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하기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제33차 학술대회> 

2024

-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지방정부와 시민단체의 역할 강화 방안 연구자문(국무조정실) 

- 2024 은평구 지역협치 활성화 포럼 '따로 또 같이, 함께 가는 은평' 

- SDGs 참여형 프로세스 연구 토론 [KEI, 한국지속가능발전센터, 한국환경사회학회 공동 세미나]

- 군포시 주민참여예산위원회 '2024년 평가회의'

- 제3차 서울시 지속가능발전 계획을 위한 공론화 사례조사 집필(서울연구원) 

- 군포시 시민행복위원회 '소위원회 컨설팅' 및 2024년 성과공유회

- 2025-2029 광명시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및 추진계획 수립 자문 

- 군포시 주민자치학교 '교육 및 비전수립/정책도출 워크숍' (활동가 역량강화) 

- 아산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자문 
- 인제군 RCE 교육 '지역혁신리더 양성교육'(활동가 역량강화) 

- 지속가능한 중랑을 위한 ESG 이해와마을에서 실천하기(중랑구 16개동 구민 ESG 역량강화 교육)

- 제9회 은평상상콘퍼런스 세션기획 및 운영- ESG와 SDGs 연결고리 찾기 워크숍 

- 제1차 노원구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 의견수렴을 위한 구민공론장 기획 및 운영
- 은평 지역 문화협력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은평지역 문화네트워크 워크숍 '이세계(ESG)'에 정착하기(활동가 역량강화)
- 당진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위원 워크숍(수원시 현장탐방 프로그램 진행)
- 서울특별시 지속가능발전 시민 원탁회의 (제3차 서울시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및 추진계획 수립을 위한 숙의시민단 운영 및 원탁회의 개최) 

- 2045 천안시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및 추진계획 수립 연구 

- 2024 참여로 바꾸는 우리마을 시민 컨설팅(경기도 평생교육진흥원, 어울림연구소)

- 마을 위기 대응 시범사업(경기도마을공동체지원센터) / 지역사회 주민주도의 마을재난대응 교육, 워크숍, 실행 사업 

- 중랑구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및 추진계획 수립 연구
- 가톨릭대학교<위기의 집:지구생존기> '수자원과 불평등 그리고 빈곤' 온라인 교양강의

-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콜로키움 '지역사회 시민참여형 지속가능발전교육 사례'

- 태화복지재단 '태화 브랜드 아이덴티티 개발 워크숍'(공동체 역량강화)

- 경기도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경기기후도민회의 운영 연구 

- 탄소중립도시 실현을 위한 탄소중립센터 설립 및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경기도 의왕시)

2023

- 구로구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및 추진계획 수립 연구

- 서울시 재난대응 자원봉사 성과 공유회 : 재난대응에 있어 마을공동체의 역할연구
- 중랑비전 원탁토론회(지속가능한 미래, 중랑ESG)

- 2023년 광명시 SDGs 이행점검 및 시민평가 연구(시민참여형 연구)

- 제6회 열린 SDG포럼 - 지방정부 SDGs 이행현황 및 추진방향 토론  

- 재난대응에 있어 마을공동체의 새로운 역할연구

- 찾아가는 안전교육 강사양성과정(안산, 대구, 울산/416재단)(활동가 역량강화) 

- 강원도 청소년 사회참여 프로젝트(지속가능발전 토론 워크숍)
- 2023 지역주민 역량강화교육(지역주민과 함께 실천하는 복지) : 재난발생시 마을안에서의 시민의 역할

- 파주시 마을공동체 지속학교 : 지속가능한 마을, 그리고 공동체(지역사회 역량강화)

- 원주시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및 추진계획 수립 연구(수정보완 연구)

- 경상남도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및 추진계획 수립 연구(수정보완 연구)

- 2023 시민참여 사회문제해결과정 시민 컨설팅(경기도 평생교육진흥원, 어울림연구소) 

- 2045 당진시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및 추진계획 수립 연구

- SDGs와 ESG시대 협치와 협력을 통한 상하수도 사업 혁신하기(교육 및 워크숍)   

- 2023 부여군 공익활동교실(활동가 역량강화)  

- 재난대응 공동체 역량강화 시민교육 

- 지속가능한 물관리를 위한 한강유역거버넌스 및  물포럼 운영

2022

- 경남형 2050 탄소중립 로드맵 및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연구(경남 도민회의 운영)
 - 지속가능한 도봉구 구현을 위한 스마트시티 리빙랩 운영 연구 

 - 당진시 지속가능발전 시민강사 교육 및 컨설팅(2기)(활동가 역량강화)  

 - 당진시 공익활동가 아카데미(활동가 역량강화)
 - 당진시 소셜리빙랩(작당실험실) 운영(시민 역량강화)  

 - 재난 피해자 및 지역사회 회복과 역량강화 방안 연구
 - 전주사회혁신센터 '지역사회 문제해결 프로젝트 : 리빙랩 역량강화 교육'(활동가 역량강화) 

 - 2040원주시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및 이행계획수립 연구
 - 중구 평생학습 미래설계를 위한 평생교육 주민참여단 워크숍(활동가 역량강화) 

 - 해보자생활정치(경기도민 정치학교) 

 - 주민주도형 종로구 행복영향평가 연구

 - 주민행복 실현을 위한  주민주도형 종로구 행복 영향평가제 마련 워크숍 운영 

 - 2022 부여군 공익활동교실(활동가 역량강화) 

 - 은평정책연구단 지속가능발전 정책 동향 집필 

 - 민주주의서울 전문가 자문그룹 활동 
 - 시민참여로 '36만 5천개의 문화도시' 만들기 , 2022 문화도시 매개자 역량강화 워밍업 워크숍(활동가 역량강화)
- 부여군 소셜리빙랩 운영(시민 역량강화)
- 2045 당진시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및 추진계획 수립연구

2021

- 경상남도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이행계획 수립연구

- 당진시 신입공무원 지속가능발전 교육

- 당진시 시민 공익활동가 입문교육과정 운영 용역

- 서울도봉구 제2차 지속가능발전 평가 보고서 발간 연구

- 당진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당진시 지속가능발전 시민강사 교육 및 컨설팅(1기) 

- 지속가능한 경남을 위한 퍼실리테이터(공무원 교육)

- 서울서대문구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점검 및 수정보완 자문, 컨설팅

- 서울 도봉구 지속가능발전교재 개발 자문, 컨설팅

- 경기도 광명시 지속가능발전교육센터(RCE) 준비위원회 컨설팅

- 원주시 지속가능발전기본계획 및 이행계획 수립 연구
- 지속가능한 도봉구 구현을 위한 스마트시티 리빙랩 운영 연구
- 당진시 지속가능발전 모더레이터 양성 연구  " 2021 당진 SDGs Designer School(1기)" 운영

- 당진시 지속가능발전 이행체계 개선방향 도출 연구
- 재난 피해자 및 지역사회 회복과 역량강화 방안 연구
- 경남형 2050 탄소중립 로드맵 및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연구(경남 도민회의 운영)

2020

- 은평구 참여예산, 협치 주민제안 정책과제 발굴 연구

- 서울동작구 협치전략과제 발굴을 위한 지역협치  자원 현황조사 연구

- 서울은평구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이행계획 수립연구

- 서울강서구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이행계획 수립연구

- 경남통영시 2030 통영지속가능발전목표안 의견수렴 및 보완 연구

- 경상남도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이행계획 수립연구

- 강남구 청년정책위원회 활동 및 컨설팅

- 전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편집위원회 컨설팅
- 송파구 협치위원회 의제분과 위원 워크숍

- 수원시 교육훈련심의위원회 활동 및 컨설팅

- 기상콜센터 정규직전환 추진협의회 활동 및 컨설팅
- 이천시 지속가능발전대학 : 내가 그리는 이천의 미래(워크숍)

- 대통령소속 국가기후환경회의 기후변화지속가능발전포럼 활동 및 컨설팅

- 국가지속가능발전위원회 활동 및 컨설팅

- 도봉구 지속가능발전교육센터(RCE) 준비위원회 활동 및 컨설팅

- 시립광징청소년센터 '미션비전 도출 워크숍'

- 충청남도 지속가능발전위원회 활동 및 컨설팅

- 아산시 청소년 문화의집 리빙랩

- 서울강북구 지속가능발전위원회 활동 및 컨설팅

- 서울종로구 지속가능발전위원회 활동 및 컨설팅

- 충청남도 지속가능발전 지표 및 이행 평가 연구용역(연구진 참여)

2019

- 강남구 복지거버넌스 활동 및 컨설팅

- 강남구 청년정책위원회 활동 및 컨설팅

- 서울시 협치역량평가 자문단 활동

- 전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편집위원회 컨설팅

- 대구, 서울, 성남 등 주민참여예산 교육

- 도봉구 지속가능발전교육센터(RCE) 준비위원회 활동 및 컨설팅

- 국가지속가능발전위원회 활동 및 컨설팅

- 완주군 신입 공무원과 함께하는 역지사지 소셜픽션 워크숍

- 충청남도 지속가능발전위원회 활동 및 컨설팅

- 서울강북구 지속가능발전위원회 활동 및 컨설팅

- 서울종로구 지속가능발전위원회 활동 및 컨설팅

- 강남구 주민참여예산 정책도출 워크숍

 

2018

 - 사회혁신연구소 설립(2018.2)

 - 강남구 강남뉴디자인위원회 활동 및 컨설팅

 - 기상청 정책자문위원회 및 정책소위원회 활동  및 컨설팅

 - 충청남도 지속가능발전위원회 활동 및 컨설팅

 - 강북구 지속가능발전위원회 활동 및 컨설팅

 - 국가지속가능발전위원회 활동 및 컨설팅

 - 주민참여예산교육: 대구시, 대구북구.동구. 달성군

2024


- 천안시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및 추진계획 수립 연구 

- 마을 위기 대응 시범사업(경기도마을공동체지원센터) 

- 중랑구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및 추진계획 수립 연구 

- 경기도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경기기후도민회의 운영 연구 

- 탄소중립도시 실현을 위한 탄소중립센터 설립 및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경기도 의왕시)


2023


- 중랑구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및 추진계획 수립 연구 

- 구로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및 추진계획 수립 연구
- 중랑비전 원탁토론회(지속가능한 미래, 중랑ESG)

- 2023년 광명시 SDGs 이행점검및시민평가 연구  

- 재난대응에 있어 마을공동체의 새로운 역할연구 

- 원주시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및 추진계획 수립 연구(수정보완 연구)

- 경상남도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및 추진계획 수립 연구(수정보완 연구)

- 2045 당진시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및 추진계획 수립 연구 

- 2023 부여군 공익활동교실 

- 재난대응 공동체 역량강화 시민교육 

- 지속가능한 물관리를 위한 한강유역거버넌스 및  물포럼 운영 


2022


-  경남형 2050 탄소중립 로드맵 및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연구(경남 도민회의 운영)
- 지속가능한 도봉구 구현을 위한 스마트시티 리빙랩 운영 연구 

 - 당진시 지속가능발전 시민강사 교육 및 컨설팅

 - 당진시 공익활동가 아카데미
- 당진시 소셜리빙랩(작당실험실) 운영  

 - 재난 피해자 및 지역사회 회복과 역량강화 방안 연구

 - 2040원주시 지속가능발전기본계획및이행계획수립 연구

 - 주민행복 실현을 위한  주민주도형 종로구 행복 영향평가제 마련 워크숍 운영 

 - 2022 부여군 공익활동교실
- 부여군 소셜리빙랩 운영
- 2045 당진시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및 추진계획 수립연구 


2021


- 경상남도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이행계획 수립연구

- 당진시 신입공무원 지속가능발전 교육

- 당진시 시민 공익활동가 입문교육과정 운영 용역

- 서울도봉구 제2차 지속가능발전 평가 보고서 발간 연구

- 당진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서울서대문구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점검 및 수정보완 자문, 컨설팅

- 서울 도봉구 지속가능발전교재 개발 자문, 컨설팅

- 경기도 광명시 지속가능발전교육센터(RCE) 준비위원회 컨설팅

- 원주시 지속가능발전기본계획 및 이행계획 수립 연구
- 지속가능한 도봉구 구현을 위한 스마트시티 리빙랩 운영 연구
- 당진시 지속가능발전 모더레이터 양성 연구 " 2021 당진 SDGs Designer School(1기)" 운영 당진시 지속가능발전 이행체계 개선방향 도출 연구
- 재난 피해자 및 지역사회 회복과 역량강화 방안 연구
- 경남형 2050 탄소중립 로드맵 및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연구(경남 도민회의 운영)


2020


- 은평구 참여예산, 협치 주민제안 정책과제 발굴 연구

- 서울동작구 협치전략과제 발굴을 위한 지역협치  자원 현황조사 연구

- 서울은평구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이행계획 수립연구

- 서울강서구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이행계획 수립연구

- 경남통영시 2030 통영지속가능발전목표안 의견수렴 및 보완 연구

- 경상남도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이행계획 수립연구

- 강남구 청년정책위원회 활동 및 컨설팅

- 전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편집위원회 컨설팅

- 수원시 교육훈련심의위원회 활동 및 컨설팅

- 기상콜센터 정규직전환 추진협의회 활동 및 컨설팅

- 대통령소속 국가기후환경회의 기후변화지속가능발전포럼 활동 및 컨설팅

- 국가지속가능발전위원회 활동 및 컨설팅

- 도봉구 지속가능발전교육센터(RCE) 준비위원회 활동 및 컨설팅

- 충청남도 지속가능발전위원회 활동 및 컨설팅

- 서울강북구 지속가능발전위원회 활동 및 컨설팅

- 서울종로구 지속가능발전위원회 활동 및 컨설팅

- 충청남도 지속가능발전 지표 및 이행 평가 연구용역(연구진 참여)


2019


- 강남구 복지거버넌스 활동 및 컨설팅

- 강남구 청년정책위원회 활동 및 컨설팅

- 서울시 협치역량평가 자문단 활동

- 전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편집위원회 컨설팅

- 대구, 서울, 성남 등 주민참여예산 교육

- 도봉구 지속가능발전교육센터(RCE) 준비위원회 활동 및 컨설팅

- 국가지속가능발전위원회 활동 및 컨설팅

- 충청남도 지속가능발전위원회 활동 및 컨설팅

- 서울강북구 지속가능발전위원회 활동 및 컨설팅

- 서울종로구 지속가능발전위원회 활동 및 컨설팅

 


2018


- 사회혁신연구소 설립(2018.2)

- 강남구 강남뉴디자인위원회 활동 및 컨설팅

- 기상청 정책자문위원회 및 정책소위원회 활동  및 컨설팅

- 충청남도 지속가능발전위원회 활동 및 컨설팅

- 강북구 지속가능발전위원회 활동 및 컨설팅

- 국가지속가능발전위원회 활동 및 컨설팅

- 주민참여예산교육: 대구시, 대구북구.동구. 달성군

사회혁신연구소

ⓒ sdgsilab

서울시 은평구 통일로 681,   3층 

Tel. 02-353-6641  | e-mail sdgsilab@gmail.com